본문 바로가기

JAVA31

day13) 예외처리 [예외란?]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오류 중 처리가 가능한 것을 의미 - 에러: 개발자가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수준 ex) 메모리 부족, JVM 동작 이상 - 컴파일 에러: 컴파일 시 발생하는 에러 ex)오타, 잘못된 자료형 등 - 런타임 에러: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 - 로직 에러: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는 다르게 동작하는 에러 - 예외: 다른 방식으로 처리 가능한 오류 ex) 입력값 오류, 네트워크 문제 *예외가 발생할 때 이를 적절히 처리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예외처리를 해야한다. [try-catch-finally] -사용법- try{ 예외가 발생할 수 있는 명령; try문에서 예외가 발생한다면, 즉시 catch문으로 이동한다 } catch(발생할 수 .. 2022. 1. 13.
day12) 컬렉션 프레임워크2 [Set] : 요소들을 집합적으로 모아놓은 자료구조 1.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2. 저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다. -HashSet set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Set과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HashSet hs = new HashSet(); [Queue(큐)] : 입구와 출구가 정해진 선형구조 1. 선입선출 FIFO(First In First Out) 2.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 활용됨 ex) 티케팅, 게임 큐잡기... 3. Queue는 인터페이스 이므로 LinkedList업캐스팅을 활용해 사용한다. Queue q = new LinkedList( ); q.offer(1); System.out.println(q.poll()); // 삭제를 동반한 출력 System.out.println(q.peek(.. 2022. 1. 11.
day11)[컬렉션 프레임워크]ArrayList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 배열을 사용하다 보면 크기가 고정적이여서 그 크기를 넘어가게 되면 더이상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없다는 정적인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바는 동적인 배열이 필요했고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료구조들을 만들었고, 이러한 자료 구조들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컬렉션 프레임 워크라고 한다. : 다수의 데이터를 쉽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의 집합 List(리스트) :데이터를 일렬로 늘어놓은 구조 List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ArrayList, LinkedList 1)ArrayList :요소 추가시 0번 인덱스부터 추가되며, 배열과는 달리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한다. 2)LinkedLi.. 2022. 1. 10.
day09)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 일종의 추상 클래스로, 추상 메서드를 갖지만 추상 클래스보다 추상화 정도가 높아 추상 클래스와 달리 몸통을 갖춘 일반 메서드, 멤버 변수를 구성원으로 가질 수 없다. -인테페이스의 멤버 상수 : final 타입 변수명 = 값; 추상 메서드 : abstract 리턴 타입 메서드 명( ) -인터페이스의 구현 방법 interface 인터페이스명{ 필드 }; class 클래스명 implements 인터페이스명{ 추상 메서드 구현 }; -인터페이스의 특징 인터페이스 내 일반 메서드 불가 인터페이스 내 별수 불가(상수만 가능) 인터페이스로 객체생성 불가(일종의 추상 클래스) 인터페이스 내 멤버 메서드 public, abstract 키워드 생략 가능 인터페이스 내 멤버 변수 public, static,.. 202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