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31 day01) 제어문(조건문) 1)제어문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 2)제어문의 종류 조건문: 정해진 조건에 따라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 :분기점, 버튼식 수행, 양자택일을 할때 if문, switch문등을 통해 시행된다. 2. 반복문: 정해진 조건에 따라 흐름을 반복하는 문법 :수행이 반복처리 될 때, N회 반복 될 때 while 문 for문을 통해 시행된다. 3)조건문 1. if문 if(조건식){ 조건식이 참일 때에만 수행되는 공간 }else if(조건식){ if 조건식이 false이고 else if 조건식이 true일 때 수행되는 공간 }else{ if, else if 문이 모두 false 일 때 무조건 수행되는 공간 } if(a%6==0) { System.out.println("6의 배수입니다."); }else if(a%2=.. 2021. 12. 21. day01) 연산자 연산자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 대상을 두고 계산 할 때 사용되는 기호. 각각의 연산자는 우선순위가 있어 여러 연산자가 있을 시 우선순위에 따라 실행된다. 산술연산자 :+,-,*,/,%등의 연산자 대입연산자 : = 변수에 값을 넣어주는 연산자, 우선순위가 상당히 낮다. : +=,-= → 복합대입연산자 증감연산자 int cnt=10; cnt++;//후위 증감 연산자: 우선순위가 매우 낮음 ++cnt;//전위 증감 연산자: 우선순위가 매우 높음 cnt--; --cnt; System.out.println("cnt: "+cnt); int n1=10; int n2=20; int n3=1; int n4=2; n2= ++n3 + n4++; System.out.println("n1: "+n1++); S.. 2021. 12. 21. day01) 변수 변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변수의 3요소 자료형: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 int a=10; //정수 double b=3.14; //실수 char c = 'a'; //문자 String d = "apple"; //문자열 boolean e = false; //진위형 공간: 메모리 저장 공간 -> 변수명을 입력하면 컴퓨터에서 메모리 저장공간을 할당 메모리 저장공간 "주소" -> 컴퓨터에서 저장공간에 주소를 지정한다. 메모리 저장 공간은 랜덤하게 잡히므로 매번 주소로 변수에 접근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변수명이라는 이름을 붙인다. => 접근이 용이 해짐 Q. 변수를 생성할때, 데이터를 반드시 지정해야한다? ->N 데이터를 일반적으로는 함께 생성 2021. 12. 21.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