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0 우아한테크) 던의 JVM의 Garbage Collector https://www.youtube.com/watch?v=vZRmCbl871I 1. JVM: 운영체제의 메모리 영역에 접근하여 메모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관리, Garbage Collector 수행 -> Garbage Collector: 메모리를 간단하게 관리하기 위해 발명됨. 동적으로 할당한 메모리 영역중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탐지하여 해제하는 기능 -> Java에서 동적으로 할당한 메모리가 Heap이고, 모든 Object 타입의 데이터가 할당, Heap영역의 Object를 가리키는 참조변수가 Stack에 할당 메인메서드가 끝나면 stack영역의 변수가 사라지게 되고 Heap영역의 객체타입 데이터만 남게된다 이러한 코드를Unreachable Code라고 하고 Garbage Collector에 .. 2022. 1. 15. day15) MVC패턴 기본구조 매우 가벼운 프로젝트가 아닌이상 개발은 협업이 기본이다. 이럴 때 각자가 맡은 역할을 순서에 따라 개발하게 되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동시적으로 개발하는 형태가 필요한데 가장 대표적인 형태가 MVC(Model-View-Controller)패턴이다. MVC패턴은 비지니스로직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을 분리시켜 서로 영향없이 개발하기 수월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사용자가 입력을 담당하는 View를 통해 요청을 보내면 해당 요청을 Controller가 받고,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가져온 데이터를 제어하여 View가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Model] Model은 어플리케이션이 무엇을 할 것인지 정의한다. 데이터 저장소(DB)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Java객체로.. 2022. 1. 14. 우아한테크) 스티치의 빌드와 배포 https://www.youtube.com/watch?v=6SvUZqbU37E 1) 빌드도구 Gradle의 특징 -JVM 기반의 빌드도구 -오픈소스 기반의 Build 자동화 도구 -Groovy위 기반 DSL로 작성한다. -Build-by-convention을 바탕으로 한다 -> 스크립트 규모가 작고 읽기 쉽다. -설정 주입방식(configuration injection) 2)배포 작성한 코드를 빌드하고, 빌드가 완성된 실행 가능한 파일을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배치하면 배포가 완료된 것 ->빌드를 하고 생성된 jar 또는 war 파일을 WAS에 올리는 것이 배포 1. git에 올려두고 2.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3. 이를 수행 및 검증하는 작업까지 3)CI/CD에 대하.. 2022. 1. 14. 우아한테크) 에헴의 빌드용어 https://www.youtube.com/watch?v=JgRCaVwkPE8 1. 컴파일 vs 빌드 컴파일: 사람인 코더가 작성한 코드(원시파일)를 컴퓨터가 알아 볼 수 있는 이진 코드(오브젝트파일)로 변경하는 작업 링크: 이진 코드로 변경된 오브젝트 파일을 여러 라이브러리나 외부 리소스등과 연결하는 과정->(실행파일) 빌드: 사람이 알아볼 수 있는 원시파일을 실제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으로 돌릴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과정(컴파일+링크) 2. 빌드는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다. 아직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JAVA에서는 gradle,maven,ant 등이 지원한다. ant) -최초로 출시된 현대적인 빌드도구 -xml사용하여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절차적으로 빌드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but xml은 수직계층의.. 2022. 1. 14.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