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1)https://spring.io/tools에서 OS에 맞춰 다운
2)다운받은 jar파일을 설치원하는 위치로 이동후
cmd를 켜 jar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
- cd.. : 현위치의 상위로 이동
- cd 폴더명 : 해당 폴더로 진입
3)java -jar spring-tool-suite-4-4.14.0.RELEASE-e4.23.0-win32.win32.x86_64.self-extracting.jar 입력후 설치
->java -jar spring-tool입력후 tab키를 누르면 자동완성
4)설치 완료 후 workspace 생성, 설치 폴더에 들어가 Spring Tools Suite실행, workspace 지정
[세팅]
1)Spring Start Project생성
2)
1. 프로젝트 이름
2. 라이브러리 관리 도구 Gradle
- 라이브러리 관리를 설정 파일(xml이 아닌)을 통해서 진행할 예정
3. 패키징 파일의 형식 War
- 내장 WAS(Web Application Server)에서 실행하여 JSP 정상 동작
4. 자바 버전
5. 프로젝트 관리자 정보
6. 패키지명
[출처] 스프링 부트 입문
3)의존성 추가
-spring에서 pom.xml역할
web 관련 라이브러리들중에서 Spring Web을 선택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프로젝트에 포함시킨다
- 우측하단이 100프로 될때까지 기다릴것!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구조 ]
a) 자바 소스 파일
b) 정적인 웹 리소스(html, css, js, 이미지 파일)
c)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여러 속성 정보들 저장
d) build.gradle 설정에 의해 라이브러리들이 알아서 포함되고 버전 충돌도 발생xxx
e) 동적인 웹 리소스(jsp)
f) 프로젝트의 환경을 설정(라이브러리 의존성 설정 등)
g)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의 설정 파일인 pom.xml 파일의 라이브러리 설정보다 매우 간단
h)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서 내장 톰캣 서버의 기본 포트 번호인 8080을 오라클에서 사용중이므로 포트 번호 변경
[출처] 스프링 부트 입문
'Spring >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81) 데이터 유효성 검증 (0) | 2022.04.26 |
---|---|
day81)Spring Boot에서 jsp파일 설정하기 (0) | 2022.04.26 |
댓글